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20년대 국내외 저항 (대중운동과 의열투쟁)>

정보/한국사(근현대사)

by 은밀하군 2015. 11. 16. 11:31

본문



1920년대 국내외 저항


(대중운동과 의열투쟁)

 

        흐름(락)

주요인물, 단체

건, 키워드

 

1920년대 국내외 저항 - 사회 분위기

1. 1920년대에는 사회주의자들의 활동이 왕성함

2. 일본이 치안유지법(1925) 적용 : 3·1운동과는 무관

 

 

다양한 대중운동 - 학생운동

1. 6·10 만세운동

    ⓐ 순종의 인산일을 이용(1926)

    ⓑ 사회주의세력이 기획+민족주의 진영(천도교)

      → 일제 탄압이라는 공동 목표 하에 사회주의 세력과 민족주의 세력이

           힘을 합칠 수 있음을 확인

      → 민족 유일당 운동의 결과물인 신간회 창립에 영향을 끼침

2. 광주학생항일운동(1929)

    ⓐ 1929년 11월 3일 : 학생항일운동기념일

    ⓑ 신간회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지원 : 진상조사단 파견·민중대회

        → 전국적으로 확산되지만 일제가 탄압

 

 

다양한 대중운동 - 청년운동·어린이운동·여성운동

1. 조선청년총동맹(1924)

2. 천도교(인내천)의 방정환 : 어린이 운동 → 어린이날·잡지 <어린이>

3. 여성운동 : 근우회(신간회의 자매단체) → 좌우의 합작·호주제의 법제화 반대
 

 

형평운동

1. 형평운동 : 백정들의 신분 차별 폐지 운동(진주)

    → 1894년 갑오개혁 때 신분제(노비제)가 법적으로 폐지되었지만

          의식적으로는 아직도 신분차별이 잔존하였음을 반증

 

 

의열투쟁

1. 의열단(김원봉이 조직) : 만주 지린성에서 조직

    → 아나키즘(무정부주의) 주장

2. 신채호<조선혁명선언> 기술 : 민중혁명·민중폭력의 기치를 내걺

    ⓐ "폭력으로서 시스템을 무너뜨리자!"

    ⓑ 안중근 의사의 의거 : 폭력은 있었으나 민중이 없었다.

    ⓒ 3·1운동 : 민중은 있었으나 폭력적 중심이 없었다.

3. 단원 : 김익상(조선총독부 공격)·김상옥(종로경찰서 공격)·나석주(동양척식주식회사·식산은행 공격)

 

 

조선의용대

1. 개별적 저항은 의미가 없다고 판단 → 군대 입교(1925)

2. 조선혁명간부학교 설립(1932)

3. 민족의 좌우합작·민족유일당 노선을 걷는 민족혁명당 조직(1935) : 의열단 중심

4. 조선의용대 창설(1938) : 중국 관내 최초의 조선인 군사 조직

 

 

한인애국단

1. 김구의 한인애국단이 1930년대 활약(윤봉길·이봉창 의사 의거)

    → 한국광봉군으로 성장(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직할부대)

   

 

            

  * 본 포스팅은 EBS 최태성 선생님의 강의를 요약/정리한 것임을 밝힘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