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10년대 국내외 저항 (3·1운동과 임시정부)>

정보/한국사(근현대사)

by 은밀하군 2015. 11. 15. 09:30

본문



1910년대 국내외 저항

(3·1운동과 임시정부)

 

        흐름(락)

주요인물, 단체

건, 키워드

 

1910년대 국내외 저항(3·1운동과 임시정부)

1. 국외의 독립운동 기지 건설과 국내의 비밀 결사 조직의 영향이 3·1운동 발생에 큰 힘이 됨

2. 또한 3·1운동 이전에 많은 독립선언서가 나왔다.

    ⓐ 만주 : 무오독립선언(대한독립선언서, 1919)

    ⓑ 도쿄 : 2·8독립선언(1919)

3. 국외에도 많은 변화의 바람이 붐

    ⓐ 레닌 : 식미지의 민족해방을 지원

    ⓑ 윌슨 : 민족자결주의(본질적으로 조선은 해당사항 없음 → 일본은 1차 세계대전 승전국이기 때문)

4. 기미년 3월 1일(1919) 3·1운동

    ⓐ 고종의 인산일을 기해 발화

    ⓑ 민족대표 33인이 주도(천도교+기독교)

    ⓒ 도시 → 농촌, 비폭력 → 폭력 으로 변화

    ⓓ 모든 계층이 참여

    ⓔ 제암리 학살 사건 등 일제가 만행 자행

5. 일제의 지배 통치 방식의 변화(무단 통치→ 문화 통치)

    ⓐ 1920년대 노동자와 농민의 운동 참여(중심세력)

    ⓑ 1920년대 항일 무장 투쟁 활성화

    ⓒ 임시정부 출범

 

 

임시정부

ⓐ 연해주 : 대한국민의회(손병희, 1919)

ⓑ 서울 : 한성정부(이승만)

ⓒ 상하이 : 상하이 임시정부(이승만)

    → 이승만은 미주에서 활동하고 있었지만 그만큼 지명도가 컸기 때문에

         이승만을 정부의 수반으로 삼았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직

1. 상하이 임시정부

    ⓐ 상하이 임시정부 → 해산 →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편입

    ⓑ 외교적으로 문제 해결 주장

2. 대한국민의회

    ⓐ 대한국민의회 → 해산 →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편입

    ⓑ 무장 투쟁으로 문제 해결 주장

3. 한성정부

    ⓐ 한성정부 → 계승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편입

    ⓑ 13도 대표회의를 통해 만들어진 단체이기 때문에 이를 인정하고 계승하고자 함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

1. 의의 : 삼권분립에 근거한 공화정

    ⓐ 입법 : 임시의정원(임시정부의 키워드)

    ⓑ 사법 : 법원

    ⓒ 행정 : 국무원

     → 최초의 공화정 주장 단체 : 신민회(애국계몽운동 단체)

2. 자금 조달 위장회사

    ⓐ 이륭양행

    ⓑ 백산상회(≠장통상회·대동상회)

3. 연통제(행정조직)과 교통국(정보기관)을 둠

    → 조직망을 국내에 두지만 일제에 의해 와해(1919~1920)

4. 군대(서로군정서·북로군정서)를 두었는데 서로군정서에 참의부를 두었다.

     참의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연결된다.

5. 미주에는 구미위원부애국공채를 발행

6. 상하이에서는 사료편찬소를 두고 독립신문을 발행

 

 

1919년 2월 이승만의 국제 연맹 청원 사건

1. 이승만이 국제 연맹 통치를 희망하는 청원을 넣음

2. 이승만(대통령) 반대 세력과 외교론 반대 세력이 이승만 비판

3. 국민대표회의가 열림 → 창조파와 개조파의 대립

4. 창조파(신채호 중심)는 외교론적 해결 비판 "대한민국 임시정부 해체하라"

5. 개조파(안창호 중심)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쪽을 선택

6. 국민대표회의 결렬 → 인사들의 대거 이탈 → 최대 위기

7. 1925년 이승만 대통령 탄핵 → 박은식이 대통령 임시 취임

8. 대통령제의 문제점 발견 → 국무령제로 전환 ⇒ 의원 내각제

9. 인사들의 계속되는 이탈 → 국무위원제 ⇒ 집단지도체제

10. 이봉창·윤봉길의 의거 성공(1932) → 김구가 이끌었던 한인애국단의 기사회생

        → 상하이 시대 폐막 → 충칭으로 이동

11. 의열단의 중심이었던 김원봉이 민족혁명당 구성, 김구는 합류하지 않음

12. 김구의 독자노선으로 한국국민당 창당

13. 한국국민당 → 한국독립당(1940) → 한국광복군 창군(1940) → 주석제 도입 → 충칭시대

14.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건국강령 선포(1941)

15. 김원봉의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에 합류

16. 주석 : 김구 · 부주석 : 김규식(1944)


   

 

            

  * 본 포스팅은 EBS 최태성 선생님의 강의를 요약/정리한 것임을 밝힘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