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밀한 파워블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은밀한 파워블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60)
    • 정보 (59)
      • 발전용어 (12)
      • 시사상식 (0)
      • 정보공유 (5)
      • 한국사(근현대사) (42)
    • 발전사 (48)
      • 발전산업동향 (40)
      • 발전기술동향 (8)
      • 신문기사 (0)
      • 인재상 및 회사관련 (0)
      • 사회공헌 (0)
      • 면접 (0)
    • 뉴스 (53)
      • 시사 (11)
      • 경제 (6)
      • 국제 (19)
      • 상식 (1)
      • 사회 (6)
      • 산업 (10)
    • 전시회&포럼 (0)
      • 대구 국제 그린 에너지 엑스포 (0)
    • Books (0)

검색 레이어

은밀한 파워블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흥선대원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애국계몽운동>

    2015.11.05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제 1차 갑오개혁>

    2015.11.02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임오군란>

    2015.10.30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개화 vs 위정척사>

    2015.10.29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개항>

    2015.10.27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흥선대원군의 통상수교 거부정책>

    2015.10.24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흥선대원군의 대내 개혁>

    2015.10.21 by 은밀하군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애국계몽운동>

애국계몽운동 흐름(맥락) 주요인물,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지금까지의 근현대사 정리+한일합방까지의 맥락 1. 대원군의 왕권 강화 / 민생 안정 / 통상수교 거부 정책(10년 섭정) 2. 민씨 정권 하의 강화도조약(=조일수호조규, 1876) 3. 주류(온건개화파>급진개화파)와 위정척사파로 나뉨 → 온건개화파는 민씨 정권과 연결 된 부류4. 위로부터의 개혁운동인 갑신정변 발발 → 청의 진압으로 실패 * 갑신정변은 ⓐ 온건개화파와 민씨 정권의 지지부진한 모습 ⓑ 개화 정책에 대한 반발 ⓒ 청에 의존적인 모습 에 저항하기 위해 발생 5. 아래로부터의 개혁운동인 동학농민운동 발발 → 일본의 진압으로 실패 6. 일본 배후 주도인 갑오·을미개혁 전개 → 갑신정변과 동학농민운동의 내용 반영7. 아관파천(러시아를 끌어들임..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5. 10:19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제 1차 갑오개혁>

제 1차 갑오개혁 흐름(맥락) 활약인물 주요사건, 키워드 갑오개혁1. 1894년 1차 동학농민운동과 동시에 일어남 2. 일본은 청일전쟁 개시와 함께 내정간섭의 일환으로 교정청 폐지 → 군국기무처 신설3. 일본의 내정간섭이 있었지만 청과의 전쟁에 신경을 써야해서 국내에 영향력 행사↓ 4. 그 미묘한 경계 때문에 갑오개혁이 자주적으로 보이기도, 외세 의존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5. 김홍집과 흥선대원군이 제 1차 갑오개혁을 이끎 6. 권력의 실세는 김홍집(온건개화파지만 갑오개혁은 급진적으로 진행)7. 청의 종주권 부정(일본이 배후에 있었기 때문에) → 독자적 연호(개국) 8. 왕 밑에 궁내부를 설치하고 왕권 축소(의정부와 궁내부가 두 축) 9. 의정부 6조체제를 의정부 8아문체제로 바꿈 ★10. 호조를 재정의..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2. 09:54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임오군란>

임오군란 흐름(맥락) 활약인물 주요사건, 키워드 임오군란 이전의 사회1. 흥선대원군의 대내 개혁 : 왕권강화와 민생안정 → 대전통편 완성, 서원 정리, 경복궁 중건 → 양전사업, 호포제, 사창제 2. 제병남신을 거치면서 통상수교 거부 정책 실현 → 최익현의 상소로 대원군 하야 3. 대원군의 하야 이후 민씨정권이 들어서면서 대원군과는 차별되는 정책 실시4. 그 과정에서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같은 통상개화파의 성장 대외적으로는 운요호 사건이 벌어지면서 개항 (강화도조약, 1876) 5. 개항이 되면서 개항에 대한 입장이 두 부류로 나뉨 ⓐ 온건개화파 : 김홍집, 중국의 중체서용 → 동도서기 ⓑ 급진개화파 : 김옥균, 일본의 메이지 유신 → 문명개화6. 개화파에 의하여 통리기문아문 설치(1881) ⓐ 5군..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0. 30. 00:27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개화 vs 위정척사>

개화 vs 위정척사 흐름(맥락) 활약인물 주요사건, 키워드 1. 통상개화파의 주요 인물로는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등이 있다. 2. 개화파는 통상개화파의 영향을 받았다.3. 위정척사의 뜻은 ⓐ 위정(衛正) : 바른 것을 지키고 → 성리학을 지키고 ⓑ 척사(斥邪) : 사학을 물리친다 → 서양을 배척한다. 4. 개화파는 온건개화파와 급진개화파로 나뉜다. 인물 특징 개화방법 온건개화파 김홍집, 어윤중 친청파 양무운동(중체서용) 동도서기 급진개화파 김옥균, 박영효 친일파 * 메이지유신 문명개화 * 급진 개화파의 친일파적 성격은 일제강점기의 매국의 의미가 아니며, 일본의 개화 방법을 지향한다는 것이다. 5. 1860년대 통상수교 반대 (이항로, 흥선대원군) → '척화주전론' 주장6. 1870년대 개항(강화도조약..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0. 29. 09:24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개항>

개항 흐름(맥락) 활약인물 주요사건, 키워드 1. 최익현의 상소로 흥선대원군 하야 → 민씨 정권 들어섬 = 새로운 세도가문의 형성(여흥 민씨) → 통상개화파의 성장2. 낙론 중에서도 북학파의 의식이 있는 사람들은 중국의 양무운동과 일본의 메이지유신을 거치면서 통상개화 주장(내부적인 요인) 3. 운요호 사건 : 일본이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조선과의 관계를 재설정 → 서계를 보내는 과정에서 자신들이 상국이라고 도발 → 조선이 서계를 거부하자 일본 내에서는 정한론 등장(1873) → 운요호 사건(1875, 강화도) 4. 내부적인 요인+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조선은 문호 개방 ⇒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 1876)5. 조일수호조규 ⓐ 조선은 자주국이다 → 청과이 관계를 끊기 위해(청의 종주권 소멸) ⓑ 부산..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0. 27. 07:21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흥선대원군의 통상수교 거부정책>

흥선대원군의 통상수교 거부정책 흐름(맥락) 활약인물 주요사건, 키워드 1. 흥선대원군은 많은 개혁을 했지만 근대적 개혁이 아닌 왕정복구이다. → 역사의 발전 방향과 합치하지 않음 2. 19세기 세계사적 관점에서 본 대외관계는 → 서양세력이 동쪽을 점령 → 동양이 버티지 못함3. 청나라 : 양무운동(중체서용) = 점진적 개방 ← 영국에 의한 문호 개방 일본 : 메이지유신(문명개화론) = 급진적 개방 ← 미국에 의한 문호 개방 4. 청이 청일전쟁(1894)에서 패배하며 변법자강운동으로 바꿈(점진적 → 급진적) 5. 조선의 흥선대원군은 을 폄6. 문호를 개방시키려는 서양 열강의 움직임이 이어짐7. 미국의 제너럴셔먼호 사건(1886년, 평양 박규수의 활약) → 신미양요의 원인이 됨 8. 같은 해에 베이징을 점령..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0. 24. 08:58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흥선대원군의 대내 개혁>

대원군의 대내 개혁 흐름(맥락) 활약인물 주요사건, 키워드 1. 흥선대원군이 정권을 잡았을 때의 시대적 배경을 살핀다. (1863년, 고종 나이 12세)2. 정치적 : 세도정치기(안동 김씨, 풍양 조씨) → 비변사와 5군영을 장악 → 권력을 무한대로 확장3. 경제적 : 3정의 문란이 심했다.(3정 : 정정, 군정, 환곡) 흥선대원군 집권 이전 시기에 ⓐ 영정법(인조) : 1결당 4~6두 ⓑ 대동법(광해군) : 1결당 12두 ⓒ 균역법(영조) : 결작 1결당 2두 으로 해결하려 했던 시도가 있었다. 4.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 타파를 위해 왕권 강화를 시도5. 우선 권력이 집중되어 있는 비변사의 기능을 축소 ⓐ 비변사 : 행정+군사 → 의정부(행정)+삼군부(행정) 으로 나눔 * 비변사 : 임시상설기구(중종)..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0. 21. 10:2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은밀한 파워블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