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밀한 파워블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은밀한 파워블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60)
    • 정보 (59)
      • 발전용어 (12)
      • 시사상식 (0)
      • 정보공유 (5)
      • 한국사(근현대사) (42)
    • 발전사 (48)
      • 발전산업동향 (40)
      • 발전기술동향 (8)
      • 신문기사 (0)
      • 인재상 및 회사관련 (0)
      • 사회공헌 (0)
      • 면접 (0)
    • 뉴스 (53)
      • 시사 (11)
      • 경제 (6)
      • 국제 (19)
      • 상식 (1)
      • 사회 (6)
      • 산업 (10)
    • 전시회&포럼 (0)
      • 대구 국제 그린 에너지 엑스포 (0)
    • Books (0)

검색 레이어

은밀한 파워블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의열단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30~40년대 국내외 저항>

    2015.11.19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20년대 국외 저항>

    2015.11.18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20년대 국내외 저항 (대중운동과 의열투쟁)>

    2015.11.16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10년대 국내외 저항 (3·1운동과 임시정부)>

    2015.11.15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의열·의병 투쟁>

    2015.11.06 by 은밀하군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30~40년대 국내외 저항>

1930~40년대 국내외 저항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1920년대 말까지 1. 3부 통합운동을 통해서 북만주에는 혁신의회가 남만주에는 국민부가 생김2. 이후 혁신의회는 한국독립당(한국독립군)이, 국민부는 조선혁명당(조선혁명군)이 계승 ⇒ 1930년대 항일 무장투쟁을 이어감 1930년대 다양한 움직임(국내) 1. 1930년대의 핵심 키워드는 '한중연합작전'과 '민족말살통치' 이다.2. 국어분야 ⓐ 조선어학회 : 1940년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이어짐) ⓑ 브나로드 운동 : 1930년대 초반에 전개된 문맹퇴치운동3. 역사분야 : 사회경제학·진단학회4. 쟁의 : 비합법적·반일혁명적·지하조직화 1930년대 국외 항일 1. 만보산 사건(1931) : 조선인과 중국인이 농지수로를 두고 다툼2..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19. 10:35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20년대 국외 저항>

1920년대 국외 저항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1920년대 국외 저항 1. 봉오동전투 승리(홍범도의 대한독립군, 1920)2. 훈춘사건을 빌미로 대규모 일본군이 독립군 포위망 구성 * 훈춘사건 : 일본이 중국 군벌에게 돈을 주고 일본 영사관을 지시(일본의 자작극)3. 대한독립군이 청산리로 이동하여 김좌진이 이끄는 북로군정서군과 연합하여 청산리 전투(with 천주교의 의민단)4. 간도참변 자행(1920) : 간도 지역 주민이 독립군에게 유리한 정보를 제공하자 지역 주민과 독립군의 연결고리를 끊기 위해 청산리 일대 지역을 완전 소개 시켜버림5. 전투 상황이 불리하자 서일을 중심으로 김좌진과 홍범도가 연합하여 대한독립군단 창단(중국 밀산)6. 대한독립군단의 일부는 만주로, 또 다른 일부..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18. 10:25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20년대 국내외 저항 (대중운동과 의열투쟁)>

1920년대 국내외 저항 (대중운동과 의열투쟁)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1920년대 국내외 저항 - 사회 분위기 1. 1920년대에는 사회주의자들의 활동이 왕성함2. 일본이 치안유지법(1925) 적용 : 3·1운동과는 무관 다양한 대중운동 - 학생운동1. 6·10 만세운동 ⓐ 순종의 인산일을 이용(1926) ⓑ 사회주의세력이 기획+민족주의 진영(천도교) → 일제 탄압이라는 공동 목표 하에 사회주의 세력과 민족주의 세력이 힘을 합칠 수 있음을 확인 → 민족 유일당 운동의 결과물인 신간회 창립에 영향을 끼침2. 광주학생항일운동(1929) ⓐ 1929년 11월 3일 : 학생항일운동기념일 ⓑ 신간회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지원 : 진상조사단 파견·민중대회 → 전국적으로 확산되지만 일제가 탄압 ..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16. 11:31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10년대 국내외 저항 (3·1운동과 임시정부)>

1910년대 국내외 저항(3·1운동과 임시정부)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1910년대 국내외 저항(3·1운동과 임시정부) 1. 국외의 독립운동 기지 건설과 국내의 비밀 결사 조직의 영향이 3·1운동 발생에 큰 힘이 됨2. 또한 3·1운동 이전에 많은 독립선언서가 나왔다. ⓐ 만주 : 무오독립선언(대한독립선언서, 1919) ⓑ 도쿄 : 2·8독립선언(1919)3. 국외에도 많은 변화의 바람이 붐 ⓐ 레닌 : 식미지의 민족해방을 지원 ⓑ 윌슨 : 민족자결주의(본질적으로 조선은 해당사항 없음 → 일본은 1차 세계대전 승전국이기 때문)4. 기미년 3월 1일(1919) 3·1운동 ⓐ 고종의 인산일을 기해 발화 ⓑ 민족대표 33인이 주도(천도교+기독교) ⓒ 도시 → 농촌, 비폭력 → 폭력 으로..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15. 09:30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의열·의병 투쟁>

의열·의병 항쟁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의열·의병 항쟁1. 쓰러져가는 조선을 바로 세우기 위한 노력의 두 노선 ⓐ 실력양성·교육 : 애국계몽운동 ⓑ 싸우자 ! : 의열·의병 투쟁2. 의열항쟁은 개별적 저항, 의병항쟁은 단체적 저항이다.3. 을사늑약(1905) 이후 의열항쟁 본격화 ⓐ 민영환 자결 ⓑ 장지연 황성신문에 게재 ⓒ 나철·오기호 오적 암살단 조직 4. 한일신협약(= 정미 7조약)으로 인해 군대(시위대·진위대) 해산 → 시위대 제 1대대장 자결 → 훗날 시위대 군인들이 의병 활동 5. 의열 투쟁 ⓐ 전명운과 장인환의 스티븐스 사살(1908) * 스티븐스 : 제 1차 한일협약으로 우리나라에 외교고문으로 파견 ⓑ 이재명의 이완용 피습(1909, 명동성당) ⓒ 안중근 의사의 이토..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6. 09:4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은밀한 파워블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