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밀한 파워블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은밀한 파워블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60)
    • 정보 (59)
      • 발전용어 (12)
      • 시사상식 (0)
      • 정보공유 (5)
      • 한국사(근현대사) (42)
    • 발전사 (48)
      • 발전산업동향 (40)
      • 발전기술동향 (8)
      • 신문기사 (0)
      • 인재상 및 회사관련 (0)
      • 사회공헌 (0)
      • 면접 (0)
    • 뉴스 (53)
      • 시사 (11)
      • 경제 (6)
      • 국제 (19)
      • 상식 (1)
      • 사회 (6)
      • 산업 (10)
    • 전시회&포럼 (0)
      • 대구 국제 그린 에너지 엑스포 (0)
    • Books (0)

검색 레이어

은밀한 파워블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민족혁명당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30~40년대 국내외 저항>

    2015.11.19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20년대 국내외 저항 (대중운동과 의열투쟁)>

    2015.11.16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10년대 국내외 저항 (3·1운동과 임시정부)>

    2015.11.15 by 은밀하군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30~40년대 국내외 저항>

1930~40년대 국내외 저항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1920년대 말까지 1. 3부 통합운동을 통해서 북만주에는 혁신의회가 남만주에는 국민부가 생김2. 이후 혁신의회는 한국독립당(한국독립군)이, 국민부는 조선혁명당(조선혁명군)이 계승 ⇒ 1930년대 항일 무장투쟁을 이어감 1930년대 다양한 움직임(국내) 1. 1930년대의 핵심 키워드는 '한중연합작전'과 '민족말살통치' 이다.2. 국어분야 ⓐ 조선어학회 : 1940년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이어짐) ⓑ 브나로드 운동 : 1930년대 초반에 전개된 문맹퇴치운동3. 역사분야 : 사회경제학·진단학회4. 쟁의 : 비합법적·반일혁명적·지하조직화 1930년대 국외 항일 1. 만보산 사건(1931) : 조선인과 중국인이 농지수로를 두고 다툼2..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19. 10:35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20년대 국내외 저항 (대중운동과 의열투쟁)>

1920년대 국내외 저항 (대중운동과 의열투쟁)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1920년대 국내외 저항 - 사회 분위기 1. 1920년대에는 사회주의자들의 활동이 왕성함2. 일본이 치안유지법(1925) 적용 : 3·1운동과는 무관 다양한 대중운동 - 학생운동1. 6·10 만세운동 ⓐ 순종의 인산일을 이용(1926) ⓑ 사회주의세력이 기획+민족주의 진영(천도교) → 일제 탄압이라는 공동 목표 하에 사회주의 세력과 민족주의 세력이 힘을 합칠 수 있음을 확인 → 민족 유일당 운동의 결과물인 신간회 창립에 영향을 끼침2. 광주학생항일운동(1929) ⓐ 1929년 11월 3일 : 학생항일운동기념일 ⓑ 신간회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지원 : 진상조사단 파견·민중대회 → 전국적으로 확산되지만 일제가 탄압 ..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16. 11:31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1910년대 국내외 저항 (3·1운동과 임시정부)>

1910년대 국내외 저항(3·1운동과 임시정부)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1910년대 국내외 저항(3·1운동과 임시정부) 1. 국외의 독립운동 기지 건설과 국내의 비밀 결사 조직의 영향이 3·1운동 발생에 큰 힘이 됨2. 또한 3·1운동 이전에 많은 독립선언서가 나왔다. ⓐ 만주 : 무오독립선언(대한독립선언서, 1919) ⓑ 도쿄 : 2·8독립선언(1919)3. 국외에도 많은 변화의 바람이 붐 ⓐ 레닌 : 식미지의 민족해방을 지원 ⓑ 윌슨 : 민족자결주의(본질적으로 조선은 해당사항 없음 → 일본은 1차 세계대전 승전국이기 때문)4. 기미년 3월 1일(1919) 3·1운동 ⓐ 고종의 인산일을 기해 발화 ⓑ 민족대표 33인이 주도(천도교+기독교) ⓒ 도시 → 농촌, 비폭력 → 폭력 으로..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15. 09: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은밀한 파워블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