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밀한 파워블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은밀한 파워블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60)
    • 정보 (59)
      • 발전용어 (12)
      • 시사상식 (0)
      • 정보공유 (5)
      • 한국사(근현대사) (42)
    • 발전사 (48)
      • 발전산업동향 (40)
      • 발전기술동향 (8)
      • 신문기사 (0)
      • 인재상 및 회사관련 (0)
      • 사회공헌 (0)
      • 면접 (0)
    • 뉴스 (53)
      • 시사 (11)
      • 경제 (6)
      • 국제 (19)
      • 상식 (1)
      • 사회 (6)
      • 산업 (10)
    • 전시회&포럼 (0)
      • 대구 국제 그린 에너지 엑스포 (0)
    • Books (0)

검색 레이어

은밀한 파워블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소련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5·18과 6월 항쟁>

    2015.12.03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6·25 전쟁>

    2015.11.29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좌우합작운동>

    2015.11.23 by 은밀하군

  •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광복>

    2015.11.20 by 은밀하군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5·18과 6월 항쟁>

5·18과 6월 항쟁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5·18과 6월 항쟁 1. 1980년대의 시작과 서울의 봄 ⓐ 유신체제와 계엄의 중단, 전두환 정부 해체 요구 ⓑ 이러한 대중들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5·17 계엄 확대(전국) ⓒ 하지만 광주에서는 민주화운동이 출발(1980년 5월 18일) ⓓ 계엄군과 ★시민군간의 대치 → 시민군이 진압됨 ⓔ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설치 ⓕ 삼청교육대 ⓖ 언론의 통폐합 ⓗ 최규하 대통령 사임 → 전두환 대통령 취임 ⇒ 유신헌법이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에 전두환도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해 대통령 당선2. 8차 개헌 ⓐ 대통령 간선제 : ★대통령 선거인단에서 선출 ⓑ 대통령 임기 7년·단임제3. 전두환 정부의 재출범(1981) ⓐ 유신헌법 하에서의 첫 번째..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2. 3. 08:14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6·25 전쟁>

6·25 전쟁          흐름(맥락)주요인물, 단체주요사건, 키워드  6·25 전쟁1.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헌법에 명시했던 일들을 실행하기 시작2. 1948년도에 친일파와 관련된 법이 제정되고 1949년에 이행    →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 → 반민특위3. 이승만 정권에서 비협조적으로 바라봄 → 국가가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이유4. 악질 순사 노덕술이 끌려오자 경찰 부하들이 반민특위 습격5. 국회 프락치 사건 조작 "반민특위에 빨갱이 간첩이 있다"6.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이승만 정부는 공소시효 축소를 내걸고 반민특위 종료시킴    → 결과적 실패7. 농지개혁은 1950년에 단행 → 유상매입·유상분배 원칙    ⓐ 3정보 이상은 유상매입하고, 생산량의 150%를 책정하여 5년 분..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29. 13:32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좌우합작운동 1. 광복에 대한 외부적인 요인은 ⓐ 카이로 회담 ⓑ 얄타 회담 ⓒ 포츠담 회의가 있다.2. 얄타 회담에서 소련 참전을 논의한 결과 38도선이 확정 → 1945년 8월 15일 독립3. 국내의 조선건국동맹·국외의 조선독립동맹·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이 있었다. → 독립의 내부적인 요인4. 하지만 내부적인 요인보다 외부적인 요인이 광복에 더 큰 영향을 끼쳤다.5. 미군정이 들어선다는 소식에 조선건국동맹은 협상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만들고 지방에 인민위원회 설치 → 빠르게 공산화6. 이후 조선인민공화국을 일방적으로 선포7. 북에는 소련이, 남에는 미국이 들어와 있는데 미국은 어떠한 정부조직도 인정하지 않고 미군정만을 고..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23. 21:43

[한국사] STORY로 보는 韓國史 <광복>

광복 흐름(맥락) 주요인물, 단체 주요사건, 키워드 광복 직후 인물들의 성향 1. 여운형과 안재홍의 조선건국준비위원회2. 여운형과 김규식의 좌우합작운동3. 김규식과 김구는 남북 협상에 참여 : 김일성을 만나러 방북 광복 - 외부적인 요인 1. 1940년대가 되면 일제의 패망이 서서히 나타남2. 카이로 회담 : 한국의 독립이 최초로 거론. "in due course(적절한 때에)"3. 얄타 회담 : 소련이 태평양 전쟁 참전 약속 → 38도선의 계기4. 포츠담 회담 : 카이로 회담 재확인5. 광복 : 1945년 8월 15일 광복 - 내부적 요인 1. 광복 직전의 건국 준비 활동 ⓐ 서울 : 조선건국동맹(여운형) ⓑ 옌안 : 조선독립동맹(김두봉) ∋ 조선의용군 ⓒ 상하이 : 대한민국 임시정부(김구) ∋ 한국광..

정보/한국사(근현대사) 2015. 11. 20. 11:0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은밀한 파워블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